블록체인/이더리움

MEV(Maximal Extractable Value) 이해하기 (이더리움, POS)

개발정리 2025. 7. 4. 16:43

MEV, 우리말로 하면 "최대 추출 가능 가치" 란 뜻을 가지고 있다.

 

블록체인에서 블록을 만드는 사람 (채굴자 혹은 검증나)

1) 트랜잭션 순서를 바꾸거나,

2) 특정 거래를 선택해 넣음으로써 얻을 수 있는 최대한의 이익을 의미한다. 

 

블록체인은 거래가 발생한 순서와 다르게 블록 안에 담기는 순서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을 스테이블 코인으로 교환하려고 할 때,

이 거래를 먼저 본 블록 생산자가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순서를 바꾸어 수익을 낼 수 있다. 

 

이 순서를 조작해 이익을 뽑아내는 것이 MEV이다. 

 

 

...

 

 

왜 MEV가 발생할까 

 

1. 거래 처리의 과정을 생각해보면, 블록체인에서는 트랜잭션이 아래 순서로 처리된다.

 

1) 유저가 트랜잭션 생성

2) 멤풀(mempool)에 대기

3) 블록 생산자가 거래를 선택해 블록 생성

4) 블록이 체인에 붙고 확정

 

여기서 2~3단계에서 누가, 어떤 순서로 거래를 넣느냐에 따라 수익과 손해가 갈린다.

 

2. 블록 생상자는 mempool을 들여다보며 

 

1) 수익성이 높은 거래를 먼저 처리하고,

2) 특정 트랜잭션 앞뒤에 자신의 거래를 끼워넣어 차익을 챙긴다.

 

이렇게 블록의 순서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바꾸는 능력이 바로 MEV의 원천이다. 

 

 

...

 

 

대표적인 MEV 전략

 

1) 프런트 러닝

- 거래가 블록에 포함되기 전에, 블록 생산자가 같은 방향의 거래를 먼저 실행

- 예를 들어, 대량 매수가 예상되면 그 전에 매수해 가격이 오를 때 매도

 

2) 백 러닝

- 거래가 블록에 포함된 직후에, 반대 방향으로 거래

- 예를 들어, 대량 매도로 가격이 떨어진 후 저가에 매수

 

3) 샌드위치 어택

- 거래 앞뒤에 블록 생산자가 거래를 끼워 넣어 차익을 두 번 얻는다.

- 먼저 매수 -> 누군가 대량 매수 거래 -> 매도

 

 

...

 

 

MEV를 모르고 거래하면

 

1) 예상보다 불리한 가격으로 거래

2) 더 높은 슬리피지(가격 변동)로 손해

3) 숨겨진 비용이 발생

 

특히 대규모 거래를 할 때 MEV 표적이 되기 쉽다.

MEV는 블록체인의 투명성과 구조적 특성을 이용한 '보이지 않은 수수료'라 생각하자.

 

 

...

 

 

최근 보호 기술로,

 

1) 프라이빗 멤풀

- 거래 내용을 외부에서 보지 못하게 숨겨서 MEV 방지

 

2) MEV 보호 기능 거래소

- 거래를 암호화하거나 특별한 경로를 사용해 공격을 막음

 

3) 슬리피지 설정

- 가격이 일정 이상 변하면 자동으로 거래를 취소

 

 

...

 

 

MEV는 블록체인의 구조적 허점이자, 블록 생성자가 가진 권한을 이용해 이익을 뽑아내는 행위다. 

 

1) 거래 순서가 바뀔 수 있고,

2) 이를 통해 누군가 수익을 얻고, 

3) 나는 손해를 볼 수 있음을 반드시 이해하자.

 

 

... 

 

 

정리

 

블록체인에서는 거래들이 순차적으로 블록에 담겨 처리된다.

 

1) 누군가가 높은 수수료를 제시하면,

2) 블록 생산자는 더 많은 이익을 위해 트랜잭션의 순서를 바꿀 수 있다. 

(즉, 순서 변경 요청 의뢰를 받거나, 의도한 바가 있어 자신이 직접 순서를 바꾼다.)

3) 원래 b -> c로 들어가야 할 블록이 a -> b -> c 나, b -> a ->c 처럼 바뀌는 것이다.

4) 블록 안의 순서를 조작해 자신에게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고 최대 이익을 뽑아내는 행위가 MEV 이다. 

5) 다시 말해, MEV 란 블록 생산자가 수수료와 권한을 이용해 거래 순서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바꾸어 이익을 얻는 것이다. 

 

이로써, 검증자 (혹은 채굴자)는 구조적으로 두 가지 수 익원을 가지는 것으로 보이나, 정확히는 한 가지 더 있다.

아래 글을 참고하자. 

 

 

 

이더리움 비즈니스 모델 (Priority Fee, MEV, 합의 보상)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일반 비즈니스에 비유한다면 '블록 공간 판매'라고 비유해 볼 수 있다. 트랜잭션을 날리는 유저 입장에서는 블록 공간에 자신의 트랜잭션을 넣기 위해서 블록 공간을 사야

hyokeun0419.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