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크립토
개인 지갑 (핫 월렛, 콜드 월렛)
개발정리
2024. 4. 5. 18:37
개인지갑
- 암호화폐가 소유자 것이라고 인증해주는 '키(key)'를 관리하는 도구
개인지갑 기능
1) 개인 키 생성
2) 개인 키로부터 공개키를 생성
3) 공개키로 주소를 생성
4) 거래를 승인
5) 여기서 생겨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공유 또는 전파
개인키 -> 공개키 -> 주소
개인지갑의 종류
대표적으로 Hot wallet, Cold Wallet 이 둘이 있다. 이 둘의 차이는 '온라인 연결'에 있다.
지갑이 처리하는 거래의 3단계
1) 거래 내역 생성
2) 서명 (개인키를 통해서 하며 위 거래내역이 내가 원하는 바 임을 서명하는 것)
3) 거래 내역과 서명을 전파
Hot wallet은 1, 2, 3번 과정을 모두 온라인에서 한다. 이는 개인 키 노출 위험성이 높아진다. 반면 Cold wallet 은 서명 과정을 오프라인에서 한다. 그리고 전파하는 과정만 온라인에서 하게 되어 개인 키 노출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
웹2.0 에서는 각 플랫폼에 입장할 때, 각 플랫폼에서 회원가입을 진행해야 했다. 플랫폼 마다 내 정보를 넘겨주고, 내 정보가 플랫폼들로 부터 관리되었다. 그리고 플랫폼 입장에도 허가를 받아야만 입장이 가능했다.
개인 지갑은 웹3.0 사이트와 연결될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웹 3.0에서는 개인 지갑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결된 모든 사이트 입장이 가능해진다. 즉, 입장 권한이 나 스스로에게 있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