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도커&쿠버네티스

Docker 정리 (4) 컨테이너 run

개발정리 2021. 8. 28. 12:27

run : 이미지를 실행시켜 컨테이너를 만들때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도커 GUI 사용


도커 대시보드(GUI 환경)를 이용하여 run 을 한 후 on/off 를 할 수 있고, log 나 자원이용 현황을 체크할 수 있다.

 

 

 

도커 CLI 사용 


$docker run [OPTIONS] Image [COMMAND] 


CLI 환경에서 run 명령어를 이용하는 예시이다.

run 뒤에 옵션, 이미지 이름, 컨테이너 안에서 실행하고 싶은 명령어를 입력해주면된다. 

[ ] 표시가 있는 것은 생략이 가능하다.

 

 

$docker run httpd


httpd 기반으로 컨테이너가 만들어지고, 그 컨테이너가 실행되는 모습이 화면에 출력된다. 

 

 

$docker ps

 

컨테이너 리스트 및 정보 확인 명령어

 

 

$docker run --name ws2 httpd

 

하나의 이미지는 여러개의 컨테이너를 만들 수 있다. 

httpd 이미지를 새로운 컨테이너에 생성하고 이름을 ws2 로 지정하였다. 

 

 

$docker stop [OPTIONS] Container 


실행중인 컨테이너를 끄고 싶을 때 사용한다. 

stop 했다고 삭제되는 것은 아니므로 유의하자. 

 

 

$docker ps -a 


-a 옵션을 주게되면 stop 되어있는 컨테이너 확인도 가능하다. 

 

 

$docker start ws2 


stop 하였던 컨테이너를 실행

 

 

$docker logs [OPTIONS] Container
  • docker logs ws2 
  • docker logs -f ws2

로그를 확인하고 싶거나, 실시간으로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docker rm [OPTIONS] Container [Container...]
  • $docker rm ws2 
    이 때 실행중인 컨테이너는 바로 지울 수 없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한다. 
    stop 후 rm 을 진행하거나, 
  • $docker rm --force ws2 
    --force 옵션을 이용하여 실행중인 상태를 무시하고 지울 수 있도록 설정하자. 

 

$docker rmi [OPTIONS] Image [Image...]


이미지를 지우고 싶을 때에는 위 옵션을 사용하자. 

 

 

 

참고강의 및 문서


https://opentutorials.org/course/4781

https://docs.docker.com/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