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실행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서버라고 불리는 프로그램들은 데몬에 해당된다.
예를들어, 웹 서버의 경우에는 항상 켜져있어야 하는데 데몬 혹은 서비스라고 불리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있어야 가능하다.
데몬을 키고 끄는 방법을 살펴보자.
우선 데몬 프로그램들이 위치하고 있는 곳을 알아야한다.
- cd /etc/init.d
위 경로에 있는 서비스들을 키고 끌땐 다음과같은 명령어를 입력해주어야한다.
아파치를 실행시켜보자.
- sudo service apache2 start
아래 명령어를 통해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 리스트를 보면 아파치가 실행되고 있는것을 볼 수 있다.
- ps aux | grep
이처럼 데몬을 관리할땐 start / stop 명령어로 관리하면 된다.
- sudo service apache2 stop
부팅시 특정 프로그램을 자동 실행시키는 방법
부팅시 자동 실행시키고 싶으면 ect 디렉토리에서 rc3.d 혹은 rc5.d 디렉토리에 접근하야한다.
rc3.d 는 현재 운영하고 있는 리눅스 환경이 CLI 인경우, rc5.d 는 GUI 환경인 경우이다.
- cd rc3.d
- ls -l
S02apachke2 -> ../init.d./apachke2
ㄴ S로 시작하는 프로그램은 재부팅시 자동으로 실행
ㄴ 뒤에 숫자는 우선순위이다.
K01apache-htcahceclean -> ../init.d/apache-htcacheclean
ㄴ K로 시작하는 프로그램은 재부팅시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설정하는법은 링크를 건 후에 설정해야 하는데 이는 추후에 다시 정리해서 업로드 할 것이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on 이란 (0) | 2021.09.22 |
---|---|
특정 서버 API 호출 전 방화벽 이슈를 확인하는 방법 (0) | 2021.08.30 |
쉘(Shell) & 커널(Kernel) (0) | 2021.08.24 |
vi 에서 영구적으로 줄번호 출력 (0) | 2021.07.02 |
VM (virtualbox) 설치방법 (0) | 2020.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