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 | 화면을 지우는 명령어 |
date | 날짜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 |
cal | 달력을 나타내는 명령어 |
man 명령어 | manual의 줄임말, 특정 명령어의 메뉴얼을 보여준다. |
한줄씩 위 아래 이동은 방향키 | |
페이지 단위로 이동은 스페이스바(아래), b(위) | |
q (나가기) | |
pwd | 현재 디렉토리 위치 확인 (Print the name of Working Directory :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 출력) |
cd 디렉토리 위치 | 디렉토리 위치 변경하기 |
cd / | 루트 디렉토리로 이동 |
cd ~ | 홈 디렉토리로 이동 |
cd - | 직전에 있던 경로 이동 |
ls | list줄임말, 현재 디렉토리 안의 자식 디렉토리나 파일들의 리스트를 보여줌. |
ls -l | 자세한 정보까지 보고싶을때 (long listing format의 줄임말, 결과를 긴 리스트 형식으로 보여달라) |
ls -a | all의 줄임말. 숨겨져 있는 자식 디렉토리나 파일을 볼 수 있음. |
ls -a -l | 숨겨져있던것들도 보이면서 자세한 정보도 볼 수 있다. |
ls -al 혹은 ls-la | 위 명령어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ls 파일이름 | 파일의 정보를 볼 수 있다. |
ls -l 파일이름 | 파일 정보를 자세하게 볼 수 있다. |
ls -d 디렉토리 정보 | 디렉토리 자체 정보를 볼수 있다. |
ls -ld | 디렉토리 자체정보를 자세히 볼 수 있다. |
ls -l 결과 중에서 알아야할 내용 참고 | |
mkdir 폴더명 | 폴더를 만들때 사용한다. |
mkdir 경로 | ex] mkdir parent/child > parent폴더에 child폴더를 새로 만든다. |
touch 파일명 | 파일을 만들때 사용한다. |
mv | 첫번째 기능 > move의 약자로 디렉토리나 파일을 옮김 |
mv "옮기고싶은 디렉토리 혹은 파일명" "도착지" | |
mv | 두번째 기능 > 이름변경 |
mv "원래파일/디렉토리명" "새파일/디렉토리명" | |
-i 옵션 (기존파일에 덮어써지지 않도록 확인받는 옵션 interactive 약자) | |
cp | 복사 & 붙여넣기 |
-i 옵션 , -r 옵션 (폴더 복사시 또 다른 폴더 혹은 파일이 있을 수 있기때문에 -r 옵션을 주자. recursive 약자) | |
rm | remove, 디렉토리와 파일 삭제 |
-r 옵션 사용 | |
cat | concatenate, 이어 붙이다, 파일들의 내용을 이어서 출력, |
cat 파일이름1 파일이름2 | |
less file1 | 하나의 파일만 보기 편하게 보여준다. |
방향키, 스페이스바(한페이지), b(이전페이지), G/g (처음과 끝), q(나가기) | |
less file1, file2 | 한 화면에 하나의 파일만 보여주며 두번쨰 파일을 보고싶을때 |
:n (다음페이지) | |
:p (이전페이지) | |
head 파일명 | 파일의 맨 앞 부분을 출력 |
-n 옵션, ex) head -n 20 , 파일의 처음 20줄 출력 | |
tail 파일명 | 파일의 맨 뒷 부분을 출력 |
ex) tail -n 20 , 파일의 맨 뒤 20줄 출력 | |
history | 사용한 커맨드의 내역을 보여준다. |
history 내역 확인후 "!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명령어가 실행된다. | |
tab키 | 파일이름 앞글자를 쓰고 tab키를 누르면 자동완성이 된다. |
똑같은 앞글자를 가진 파일이 여러개인 경우 tab키를 두번 누르면 해당 파일 목록을 보여준다. | |
ctrl+a | 커서가 맨 앞으로 이동 |
ctrl+e | 커서가 맨 뒤로 이동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쉘(Shell) & 커널(Kernel) (0) | 2021.08.24 |
---|---|
vi 에서 영구적으로 줄번호 출력 (0) | 2021.07.02 |
VM (virtualbox) 설치방법 (0) | 2020.05.10 |
GUI & CLI 환경 (0) | 2020.05.10 |
Unix ? (0) | 2020.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