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디파이 붐 이후 수 많은 시행착오가 있었다. 이를 밑거름으로 하여 계속 개선이 되고 있다. 그리고 이해관계자 사이에 조정이 계속 일어나고 있다. 이 결과로 블록체인의 기술적 특징을 전제로 하여 참여자들 사이에서 기본값처럼 채택되게 된 것이 있다.
1) 범정화폐 담보 스테이블 코인
- 매 해 조 단위의 수익을 거두며 안정적으로 운영됨에 따라 법정화폐 담보에 대한 리스크가 크게 해소되었다.
2) 프로토콜의 거버넌스토큰 분배 측면
- 2020년 컴파운드를 시작으로 프로토콜의 유동성 제공자 등 실사용자에게 토큰을 분배하는 것이 표준으로 자리잡았다. 이후 새로 출시하는 프로토콜의 경우 전체 토큰 발행량에서 상당부분이 유저에게 분배되는 형태로 토큰 이코노미가 설계되고 있다.
3) 스왑 시 AMM을 통해 온체인 거래의 구조적 문제 해결
- 거버넌스 토큰 에어드랍, 새로 발행되는 토큰 에미션 분배, Ve(3,3) 모델 등을 통해 토큰 보유자와 생태계 사용자가 토큰 이코노미를 통해 집단 행동의 딜레마를 해결하도록 하고 있다.
4) 스테이킹은 더 많은 이더리움이 스테이킹 되도록하여 이더리움 홀더 모두 이익이 되도록 발전
- 리스테이킹 혹은 유동화함으로써 수익성과 자본 효율성을 높이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5) 대형 플랫폼과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의 품질차이는 줄어들고 있다.
- 품질은 점점 좋아지는데 수익 분배 측면에서는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가 구조적으로 훨씬 우월하다. 그리고 인터넷만 연결되면 화폐 중 가장 우월한 달러에 바로 접근이 가능하다. 또한 구조적으로 미국 채권 이상의 수익률이 가능해지게 된다.
블랙록은 24년 3월 토큰화 펀드 출시를 신청하였다. '다음 단계는 모든 주식, 채권을 포함한 금융자산의 토큰화'라고 밝히기도 하였다.
...
비트코인은 24년 5월 중순 기준, 시총이 ($1.3T) 1800조이다. 금은 비트코인의 열 배인 $12T이다. 주식의 경우 $115T 이며, 채권은 $T300 이다. 이를 토큰화 했을 때 흐름도를 살펴보자.
위 흐름도는 부동산도 포함하여 $800T 라고 표현하였다. 여기에 실세계의 가치가 있는 것이고, 이것이 RWA 명목으로 토큰화 되면 실세계의 가치를 담는 매개체가 된다. RWA 토큰이 디파이 서비스를 포함해서 온체인 활동을 통해 가치가 증가하게 된다.
'블록체인 > 디파이 (Def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과 화폐 그리고 코인 (0) | 2024.06.08 |
---|---|
리퀴드 스테이킹/리스테이킹 (Liquid Staking, Liquid Restaking)(2) - 스테이킹, 리퀴드 스테이킹, 리스테이킹, 리퀴드 리스테이킹 (0) | 2024.06.07 |
리퀴드 스테이킹/리스테이킹 (Liquid Staking, Liquid Restaking)(1) - 개요, 주요사건 (0) | 2024.06.07 |
덱스, ve(3,3) (0) | 2024.06.06 |
덱스, 커브 프로토콜 (0) | 2024.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