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크립토 16

개인 지갑 (핫 월렛, 콜드 월렛)

개인지갑 암호화폐가 소유자 것이라고 인증해주는 '키(key)'를 관리하는 도구 개인지갑 기능 1) 개인 키 생성 2) 개인 키로부터 공개키를 생성 3) 공개키로 주소를 생성 4) 거래를 승인 5) 여기서 생겨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공유 또는 전파 개인키 -> 공개키 -> 주소 개인지갑의 종류 대표적으로 Hot wallet, Cold Wallet 이 둘이 있다. 이 둘의 차이는 '온라인 연결'에 있다. 지갑이 처리하는 거래의 3단계 1) 거래 내역 생성 2) 서명 (개인키를 통해서 하며 위 거래내역이 내가 원하는 바 임을 서명하는 것) 3) 거래 내역과 서명을 전파 Hot wallet은 1, 2, 3번 과정을 모두 온라인에서 한다. 이는 개인 키 노출 위험성이 높아진다. 반면 Cold wallet ..

증권사, 거래소, 블록체인 네트워크

1) 기존 증권매도매수 시스템 - 여러 증권사들은 결국 한국 거래소를 통해 매수/매도를 진행한다. - 증권 거래 운영 시간이 정해져 있다. - 각 증권사가 달라도 모든 주식의 가격은 동일하다. 2) 가상자산 거래소 시스템 - 거래소마다 가격이 조금씩 다르다. - 24시간 운영한다. - 법적으로 투자자들 보호해준다. - 해킹에 대한 리스크가 낮다. 3) 블록체인 네트워크 - 소유권을 내가 갖게된다. - 해킹 리스크 관리는 내가 직접 해야한다. - 24시간 전송이 가능하다.

과세 제도 2/2

24년 1월 18일 기준 한국 가상자산 과제 제도 정부의 금융투자소득세 (금투세) 폐지 공식화 됨. 금투세란 주식, 채권, 펀드, 파생상품 등 투자소득세 폐지를 말함. 하지만 가상자산은 여전히 높은 기준과 세율로 과세을 추진하려함. 국회에서 여러차례 논의 되었으며, 이에 코인 과세 재검토 논의가 진행중이다. 코인 과세는 금투세에 기초한 세금 제도이다. 금투세가 폐지되어 구체적으로 논의해 봐야 할 필요성이 생겼다. ... 24년 1월 18일 기준으로 확정된 내용을 살펴보자. 1) 가상자산 거래 소득에 대한 법인 관련 과세현황 재고자산, 무형자산으로 분류되는 가상자산의 공급으로 양도차익이 발생한다면 차익에 대한 법인세를 과세하는 구조이다. 반대로 차손이 발생하여도 소득금액의 감소를 인정한다. 가상자산 취득금..

과세 제도 1/2

각 국, 각계 각층에서 비트코인을 바라보는 시야는 너무나 다르다. 유동적인 화폐이자 자산이자 상품이기 때문이다. 각 국이 비트코인을 어떻게 바라보는지는 명칭을 보면 알 수 있다. 1) ~화폐 (ex. 가상 화폐, 암호 화폐) - '지급 수단', '교환의 매개'로서 가상화폐를 인정하는 것 2) ~자산 (ex. 가상 자산, 암호 자산) - '가치 저장', '투자 대상'의 성격을 강조 유럽중앙은행은 '암호자산' 이라 부르며, 미국은 기관별로 다르게 부른다. - 미 국세청, 미 재무부 가상화폐 - 미 증권거래 위원회는 암호화폐 한국은 특금법(특정금융정보법)을 살펴보면 가상자산이라 부르고 있다. 이 처음 시장을 어떤 시각으로 보는가에 따라 해석하는 바와 법적인 규정들이 모두 다르다. ... 가상자산 과세는 왜 어..

트래블 룰

자금 이동 추적 시스템으로 금융권에서 자금세탁을 방지하기 위해 송수신자의 정보등을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국제 자금세탁 방지기구(FATF)는 2019년 트래블 룰 대상에 가상자산을 추가하였다. 나라 별 트래블 룰이 조금씩 다르며 우리나라의 경우 트래블 룰에 보수적인 편이다. 트래블 룰 준수 의무에 따라서 가상자산 사업을 하는 사업자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디지털 자산을 전송하게 되는 경우 전송받는 가상자산 사업자에게 필요한 추가 정보들을 전달해야한다. 일종의 디지털 자산 금융 실명제이다. 이를 위해 한국은 '특정금융정보법'이 개정되었으며 22년 3월 25일부터 모든 가상자산사업자(VASP) 트래블룰 준수 의무를 가지게되었다. 그리고 특정금융정보법 이행에 의무가 있는 금융회사 등에 가상자산사업자를 포함시켰다..

블록체인과 AI, AI 코인 투자 전 기초 개념

AI 테마로 묶인 코인들도 위와 같이 Gen-AI, Agent, On-chain ML, Hardware 섹터로 나눠볼 수 있다. 우선 AI 용어정리를 통해 인공지능 시장을 이해해보자. 1. Generation ,Gen (LLMs) : Large Language Model or LLMs : 사용자 요청 (Query, Prompt)에 따라 글 (Text)를 만들어 내는 것 Generation ,생성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Generation AI 는 생성형 AI 를 뜻한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이를 직역했을 때의 용어로 사용하고 있지 않다. AI 시장에서 Generation 은 Large Language Model 지칭한다. 이는 컨텐츠를 만든 후 Large Language Model 을 사용하는 AI를 ..